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핵융합용어집

핵융합용어집의 NO., 용어, 영문명, 정의에 관한 표 입니다.
No. 용어 영문명 정의
101 검사 및 시험계획서 Inspection & Test Plan, : ITP 구조물, 계통, 설비 및 기기 등의 품질확인을 위해 검사활동에 필요한 작업순서, 검사점(입회점, 필수확인점), 판정기준 등을 포함하고 있는 서류로써 작업수행 전 제출해야 하는 품질확인 서류
102 격리선 Separatrix  벽과 만나는 자기장선 (열린 자기장)과 절대 만나지않는 자기장선 (닫힌 자기장)을 구분하는 경계
103 결합 Coupling 회로 요소간 고주파가 전달되는 현상.
104 고 베타 High beta 플라즈마 에너지가 자장에너지의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방전 조건. 때때로 폴로이달 자기장의 에너지와 비교하기도 한다(폴로이달 베타). (베타 참조)
105 고 이온화 플라즈마 Highly ionized plasma 전리된 입자와 중성입자로 구성된 플라즈마에서 전리된 입자사이의 충돌이 중성입자가 포함된 충돌에 비해 큰 역할을 한다. 고 이온화 플라즈마는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원자가 이온화 된 플라즈마지만 단지 1 %의 원자만 이온으로 존재할 경우에도 나타나는데 이 때에도 이온화된 입자가 플라즈마의 동력학을 좌우한다.
106 고성능 플라즈마 운전 모드 H-모드 토카막 형 핵융합장치를 운전할 때 특정 조건 하에서 플라즈마를 가두는 성능이 약 2배로 증가하는 현상으로, '82년 독일의 ASDEX 장치에서 처음 측정되어 알려졌다. 초전도 핵융합장치 중에서는 세계에서 KSTAR가 최초로 H-모드를 달성하였다(’10년). H-모드는 핵융합 장치의 우수한 운전 성능을 대표하는 것으로 ITER 장치 역시 H-모드를 기본 운전 모드로 계획하고 있다.
107 고속 왕복 이송형 전기탐침 진단시스템 Fast Reciprocating Langmuir Probe Assembly 플라즈마 경계면 외부와 용기벽사이에 존재하는 Scrape off Layer (SOL) 영역에서의 플라즈마 밀도 및 온도와 플라즈마 유속을 진단하는 장치
108 고속파 Fast Wave 정자기장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이온 또는 전자의 종파
109 고속파전류구동 Fast Wave Current Drive 고속파를 이용하여 전자를 한 방향으로 가속시켜 전류를 구동하는 방법
110 고에너지 이온 Fast Ion, Superthermal Ion, Suprathermal Ion 플라즈마에서 국부적인 특성열속도보다 훨씬 큰 특성속도를 지닌 이온으로 초열이온과 같다. 이런 이온들은 빔입사, 고주파가열, 핵융합반응, 고에너지광자와의 충돌, 레이저-플라즈마 상호작용 등에 의해 형성된다. 이런 이온들이 가진 자유에너지는 불안정성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온도가 핵융합반응첨두치보다 낮은 플라즈마에서는 이런 이온들은 핵융합반응을 일으키기 쉬우며 열핵융합과 빔-표적 핵융합을 구별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