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
- 주요 연구성과
- 주요 연구성과
- 주요 연구성과
- 주요 연구성과
- 주요 연구성과
- 주요 연구성과
- 주요 연구성과
- KSTAR 운영, ITER 조달, 핵융합파생기술개발을 통한 대표 성과
- KSTAR 건설을 통한 대표 성과
전체 12건 페이지 1/2
-
12
KSTAR연구센터KSTAR 데이터 통합 시스템 서비스 개발
KSTAR 데이터 통합 시스템 서비스 개발에 대한 주기여자, 관련과제(세부과제명), 주요 연구성과, 우수성 및 차별성,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관련근거입니다. 연구성과 KSTAR 데이터 통합 시스템 서비스 개발 주기여자 탁태현(제어기술팀) 관련과제 (세부과제명) KSTAR 장치운영사업 주요 연구성과 정성적 성과 - 플라즈마 운전 및 실험 데이터 분석 환경 접근성 향상 - KSTAR 운전 데이터 및 실험 데이터의 시간 동기화 된 데이터 비교 가능 - KSTAR 운전 로그의 통합 (CMO, PCS Operation Log)으로 각 Shot 별 정보 모든 정보 쉽게 접근 - Shot Summary, 운전 일정 등 관련 서비스를 새로 구축하여 초기 Shot 분석의 기본자료 제공 정량적 성과 - Fusion Engineering and Design 논문 1건 발행 (SCI Index - Conceptual design of new data integration and process system for KSTAR data scheduling) - 사용자 웹 서비스를 통한 데이터 비교 분석 서비스 개발 - 이기종 데이터 통합 접근 서비스 개발 우수성 및 차별성 우수성 - 자동화 데이터 처리 및 시각화 서비스 - 이기종 데이터의 동기화 및 통합 서비스 - KSTAR 운전 정보 공유 시스템을 통한 운전 효율 증가 차별성 - 운전, 일정, 실험, 초기 Shot 분석 등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통합 제공 - 빅 데이터 및 인공 지능 등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토대 제공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기술적 측면 - Shot Index 검색 및 정보 활용을 통한 Plasma 연구에 기여 - 다양한 정보의 활용으로 인공 지능 등의 기술 적용가능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 - KSTAR 운영 효율 증대 관련근거 데이터 통합 전 도면 사용자 서비스 화면 일정 공유 서비스 화면
-
11
KSTAR연구센터경계면 불안정성이 없는 H-모드 플라즈마의 특성 및 발생 원리에 대한 실험적 분석 및 검증
경계면 불안정성이 없는 H-모드 플라즈마의 특성 및 발생 원리에 대한 실험적 분석 및 검증에 대한 주기여자, 관련과제, 주요 연구성과, 우수성 및 차별성,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관련근거입니다. 연구성과 경계면 불안정성이 없는 H-모드 플라즈마의 특성 및 발생 원리에 대한 실험적 분석 및 검증 주기여자 이재현, 전영무, 김재현, 고원하, 김민우, 남용운 (NFRI), 인용균, 박현거 (UNIST), 김영철, 김재욱 (KAIST) / Pedestal 안정화연구팀 관련과제 (세부과제명) KSTAR 공동실험 및 플라즈마 연구 주요 연구성과 정성적 성과 - 외부 섭동장치 없이 자연적으로 경계면 불안정성이 사라지는 H-모드(QH-모드) 플라즈마의 특징 및 발생 원리에 대해 KSTAR의 2차원 영상진단 장치들(ECEI, BES)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요동의 변화와 수직유동 전단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확인함. 정량적 성과 - 플라즈마 가장자리 고조파 모드의 존재와 그 모드 사이의 상호작용, 플라즈마 수직 유동 전단의 증가 등 다양한 측정 결과와 분석을 통해 KSTAR의 QH-모드 시나리오 개발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함. 우수성 및 차별성 우수성 - 고해상도를 가진 2차원 영상진단 장치들(ECEI, BES)을 이용하여 전자온도와 밀도 요동, 수직유동 전단의 변화들을 직접적으로 측정함으로써 QH-모드 플라즈마의 특징과 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킴. 차별성 - 프로파일 변화에 근거한 시뮬레이션 분석이 아니라 플라즈마의 전자온도, 밀도의 요동변화와 수직유동 전단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측정함으로써 기존의 이론들을 정밀히 검증하고, QH-모드 플라즈마 생성에 대한 원리를 규명함.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기술적 측면 - KSTAR의 다양한 2차원 영상진단 장치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물리량을 측정하고, 이를 물리연구에 사용하여 플라즈마 물리연구 방법의 다양성을 추구하였고, 이러한 연구 방법은 QH-모드 플라즈마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킴.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 - 외부 섭동장치 없이 자연적으로 경계면 불안정성을 제어할 수 있다면 핵융합 플라즈마의 안정성 및 구속성 향상은 물론 플라즈마 제어기술 향상, 핵융합로 수명연장 등 많은 핵융합 난제 해결을 도모할 수 있음. 관련근거 2차원 영상진단 장치로 관측한 QH-모드 플라즈마의 특성, 플라즈마 가장자리 고조파 모드의 존재와 플라즈마 수직유동 전단의 증가를 특징으로 하고 있음.
-
10
KSTAR연구센터KSTAR 고성능 장시간 플라즈마 운전 시간 90초 달성
KSTAR 고성능 장시간 플라즈마 운전 시간 90초 달성에 대한 주기여자, 관련과제, 주요 연구성과, 우수성 및 차별성,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관련근거입니다. 연구성과 KSTAR 고성능 장시간 플라즈마 운전 시간 90초 달성 주기여자 선임연구원 김현석, 책임연구원 전영무, 책임연구원 한상희(고성능시나리오연구팀) 관련과제 (세부과제명) KSTAR 공동실험 및 플라즈마 연구 주요 연구성과 정성적 성과 - KSTAR 고성능 플라즈마 장시간 운전 기술 개발을 위해 플라즈마 운전 시나리오 최적화로 2017년 72초의 플라즈마 운전 대비 2018년 약 90초(89.7초)의 장시간 고성능 플라즈마 운전 결과 도출함. - 장시간 플라즈마 운전에 따른 드리프팅 자기 진단 신호 특성을 반영한 실시간 플라즈마 형상 해석 도구(Real-time EFIT) 최적화 및 장시간 플라즈마 운전을 위한 최적 플라즈마 형상 제시는 고성능 장시간 플라즈마 운전 기술 개발 측면에서 다년간 문제로 대두된 시간에 따른 점진적 플라즈마 성능 저하와 플라즈마 대면재(Plasma Facing Component, PFC)의 고온 열부하를 완화함. - 단지 플라즈마 운전시간의 수치적 확대(72초→90초)에 국한되지 않고 플라즈마 성능의 우수성을 동시에 추구(성능 유지)할 수 있는 기초 마련함. 정량적 성과 - 논문 1편 준비 중 (SCI), 국외학술발표 2건 (1건 4월 예정) 우수성 및 차별성 우수성 - 2017년 72초 플라즈마 운전 시간 대비 2018년 약 90초의 플라즈마 운전 실험 성공함. - 평균 약 5000천만도 이상의 플라즈마 중심부 전자 온도 유지함. - 실시간 플라즈마 형상 해석 도구(Real-time EFIT) 최적화 및 최적의 플라즈마 형상 제시로 플라즈마 운전 시간에 따른 플라즈마 성능 저하 및 PFC 열부하 완화함. 차별성 - KSTAR ‘고성능’ 플라즈마의 장시간 운전 기술은 세계적 수준임. 중국 EAST의 100초 운전 실험 결과는 장시간 운전이나 상대적으로 플라즈마 성능이 KSTAR에 비해 낮음.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기술적 측면 -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에 고성능 장시간 플라즈마 운전 기술은 필수임. 수백초 이상의 고성능 플라즈마 운전을 위해 해결해야할 공학적 난제들이 남아 있으며, KSTAR의 고성능 플라즈마 장시간 운전 결과는 장시간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핵융합 난제 해결을 위한 기반 플라즈마 운전이 될 것으로 기대함.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 - 플라즈마 성능 측면에서 ‘고성능’은 더 많은 핵융합 반응과 핵융합 에너지를 생산하므로 경제적으로 더 이득이며, 고성능 플라즈마의 ‘장시간 연속 운전’은 핵융합로 내 지속적 핵융합 반응 유지를 위해 필수임. 관련근거 2018년도 고성능 장시간 플라즈마 운전 실험 #21735 실시간 플라즈마 형상 해석
-
9
KSTAR연구센터내부수송장벽 (ITB) 형성을 통해 1.5초간 중심온도 1억도 유지
내부수송장벽 (ITB) 형성을 통해 1.5초간 중심온도 1억도 유지에 대한 주기여자, 관련과제(세부과제명), 주요 연구성과, 우수성 및 차별성,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관련근거입니다. 연구성과 내부수송장벽 (ITB) 형성을 통해 1.5초간 중심온도 1억도 유지 주기여자 책임연구원 정진일, 책임연구원 한상희 등 (고성능시나리오연구팀) 관련과제 (세부과제명) KSTAR 공동실험 및 풀라즈마 연구 (EN1901 윤시우) 주요 연구성과 정성적 성과 - 차세대 토카막 운전 모드로 평가되는 ITB (내부수송장벽: Internal Transport Barrier) 모드를 활용하여 KSTAR의 플라즈마 중심 이온 온도를 1억도 (약 9 keV) 까지 가열하고 약 1.5 초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성공하였음 정량적 성과 - 논문 및 학술발표 준비중 우수성 및 차별성 우수성 - 약 1.5초간의 유지시간 동안 모든 물리 파라메타들이 매우 안정적이었음 - 플라즈마 성능을 나타내는 각종 지표들 역시 고성능 영역에 있음 차별성 - 핵융합 반응과 직접 관계되는 이온온도 가열 성과임 - 초전도 자석으로만 건설된 차세대 토카막에서는 처음으로 도달한 성과임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기술적 측면 - ITB는 연속 운전이 가능한 차세대 핵융합로의 유력한 운전모드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음 - 따라서 ITB의 연구는 물리학적으로나 공학적으로나 토카막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로 평가됨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 - ITB의 성공적인 연속 운전은 상업적인 관점에서의 핵융합로가 더 작은 외형과 더 낮은 에너지원으로 가동될 수 있음을 의미 - 따라서,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경제 산업적 이슈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 관련근거 운전모드에 따른 에너지 가둠 성능 개선 개념도 1억도 (~ 9 keV) 유지시간 동안 안정적인 플라즈마 성능 지표들 (빨간 점선 내부) ITB 형성 전(파랑) 후(초록) 이온온도 분포 비교
-
8
선행기술연구센터K-DEMO의 플라자마 이상 거동 시 발생하는 전자기력 계산
K-DEMO의 플라자마 이상 거동 시 발생하는 전자기력 계산에 대한 주기여자, 관련과제(세부과제명), 주요 연구성과, 우수성 및 차별성,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관련근거입니다. 연구성과 K-DEMO의 플라자마 이상 거동 시 발생하는 전자기력 계산 주기여자 권성진, 임기학, 홍석호 관련과제 (세부과제명) 핵융합 실증플랜트 설계개념 및 기반기술 연구 주요 연구성과 정성적 성과 - K-DEMO 운전 시 발생하는 플라즈마의 이상 거동에 대한 토카막 내 구조물의 전자장 해석 기술 확보 - MD (Major Disruption)시 발생하는 플라즈마 전류 이상 거동 모델 생성 및 디버터 인가 전자기력 산정 정량적 성과 - 국제 학술 발표 1건 (30th Symposium on Fusion Technology, September 2018, Sicily, Italy) - 국제 저널 1건 게재 (Fusion Engineering and Design, 2019, in press 우수성 및 차별성 우수성 - 핵융합 장치에서 운전 시 MD나 VDE (Vertical Displacement Event)와 같은 플라즈마 이상 거동 시 토카막 주요 장치에 인가되는 전자기력에 대해서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향후 다양한 이상 거동 시나리오 해석을 위한 확장성을 확보함. 차별성 - 타 DEMO 장치에서는 플라즈마 시나리오가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실증로에 대한 전자기력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플라즈마 전류와 같은 중요 인자에 대해서 자체적으로 변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기술적 측면 - K-DEMO 토카막에 대한 플라즈마 이상 거동 시 가해지는 전자기력을 평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이는 디버터 또는 블랑켓과 같은 주요 진공용기 내벽 장치들의 설계 시 구조적 건전성을 평가함에 있어 필수적인 설계 인자로 활용될 예정임.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 - 핵융합 실증로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기반 조성 및 추진에 기술적 근거 제공 - 핵융합 실증로의 개념설계 및 공학설계 단계진입 시 설계개념 타당성 제고 관련근거 전자기장 해석을 위한 K-DEMO 모델 MD 발생 시 플라즈마 전류 변화 MD 발생 시 divertor에 발생하는 magnetic flux density(좌) & eddy current(우) 분포 MD 시 divertor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상)과 모멘트(하)
-
7
선행기술연구센터KSTAR 플라즈마의 외부 자장 섭동에 의한 고속이온 손실 분석
KSTAR 플라즈마의 외부 자장 섭동에 의한 고속이온 손실 분석에 대한 관련과제(세부과제명), 주기여자, 주요 연구성과, 우수성 및 차별성,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관련근거입니다. 연구성과 KSTAR 플라즈마의 외부 자장 섭동에 의한 고속이온 손실 분석 주기여자 김기민 관련과제 (세부과제명) 핵융합 플라즈마 난류 및 수송현상의 통합적 연구 주요 연구성과 정성적 성과 - RMP 외부 자장 섭동은 H-모드 운전 성능을 높이기 위해 KSTAR를 비롯한 세계 핵융합 장치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음. 그러나 토카막의 고유 자장 대칭을 깨뜨리는 RMP와 같은 자장 섭동은 고속이온의 비정상적인 손실을 유도하여 가열 성능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관련 현상의 분석과 이해가 요구됨. - 본 연구는 RMP와 같은 자장 섭동하에서 고속이온의 궤적이 어떻게 바뀌고 손실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정밀하게 계산, 예측할 수 있는 시험 입자 코드를 개발하고 KSTAR 실험에 적용함. - 이를 통해 KSTAR에서 측정된 RMP 인가 강도에 따른 고에너지 입자 손실 양상을 정량적으로 설명함. 정량적 성과 - Physics of Plasmas 25, 122511 논문 출간 - 2018년 ITPA-EP 학회, APTWG 학회 등 발표 우수성 및 차별성 우수성 - 고속이온에 가해지는 외부 자장 섭동을 플라즈마 반응을 고려하여 정밀하게 모사함. - 손실된 고속이온의 속도 공간 분포를 정밀하게 계산하고 KSTAR 측정결과를 정량적으로 설명함. 차별성 - 그동안 개발된 시험 입자 코드들이 외부 자장 섭동을 단순한 진공 모델로 취급하는 것과 비교하여, 새로 개발된 코드는 플라즈마 반응 효과가 포함된 더욱 정밀한 모델을 채용함. 이를 통해 KSTAR 실험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 설명함.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기술적 측면 - ITER와 같은 미래 핵융합 장치에서 고에너지 입자의 감금 효율을 분석, 향상시킬 수 있는 예측 모델을 확보함. 관련근거 개발된 시험 입자 코드를 사용한 고속이온의 속도비(pitch)에 따른 손실 양상 변화 시뮬레이션
-
6
선행기술연구센터광역 전자기 이온 온도 구배 모드의 대칭성 깨짐에 의한 자발적 플라즈마 유동 생성 연구
광역 전자기 이온 온도 구배 모드의 대칭성 깨짐에 의한 자발적 플라즈마 유동 생성 연구에 대한 주기여자, 관련과제(세부과제명), 주요 연구성과, 우수성 및 차별성,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관련근거입니다. 연구성과 광역 전자기 이온 온도 구배 모드의 대칭성 깨짐에 의한 자발적 플라즈마 유동 생성 연구 주기여자 강혜련 관련과제 (세부과제명) 핵융합 플라즈마 난류 및 수송현상의 통합적 연구 주요 연구성과 정성적 성과 - 플라즈마 (회전) 유동은 난류수송을 억제하고 자기유체역학적 불안정성을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ITER의 경우 원하는 플라즈마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플라즈마 유동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음.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역 전자기 이온 온도 구배 모드(ITG)에 의해 자발적으로 생성되는 플라즈마 유동량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준선형 방식 계산 코드를 개발함. - 플라즈마 베타(=플라즈마 열 에너지/자기장 에너지) 증가 시 자발적 플라즈마 유동량이 증가할 수 있음을 준선형 계산으로 보임. 이는 ITER와 같이 고 에너지의 플라즈마를 가두고 있는 경우 자발적으로 더 많은 플라즈마 유동이 발생될 수 있음을 의미함. - 새로운 자발적 유동 생성 기작 제시: 플라즈마 베타 증가가 광역 전자기적 효과를 주어 ITG 모드의 반정성 혼합(parity mixing)을 유도하고 이 때문에 ITG 모드의 대칭성이 깨지면서 자발적 유동이 발생함. 정량적 성과 - Physics of Plasmas 25, 012505 논문 출간 - 8회 아시아-태평양 수송 학회 초청 발표 우수성 및 차별성 우수성 - 실험적으로 관측되는 고 에너지 감금 시 플라즈마 유동 증가와 플라즈마 가열 시 변화하는 플라즈마 유동 분포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 차별성 - 그동안 자발적 플라즈마 유동 발생에 대한 이론연구는 주로 정전기 ITG에 대해서 연구되어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광역 전자기 ITG에 대해 시도되었고, 현재까지 알려진 ITG 모드의 대칭성 깨짐에 의한 자발적 유동 발생 기작들과는 다른, 광역 전자기적 효과에 의한 반전성 혼합(parity mixing)이라는 새로운 물리 기작을 제시함.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기술적 측면 - 개발된 코드와 새롭게 제시된 유동 생성 기작은 플라즈마 유동에 대한 실험결과 해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관련근거 플라즈마 베타 증가에 따른 레이놀즈 스트레스(플라즈마 유동 생성 원천) 변화
-
5
ITER한국사업단초대형 고온헬륨누설시험(Hot Helium Leak Test) 장치 개발
초대형 고온헬륨누설시험(Hot Helium Leak Test) 장치 개발에 대한 주기여자, 관련과제(세부과제명), 주요 연구성과, 우수성 및 차별성,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관련근거입니다. 연구성과 초대형 고온헬륨누설시험(Hot Helium Leak Test) 장치 개발 주기여자 김사웅, 박병일, 심희진, 이용희, 정우호, 이현곤, 정기정 관련과제 (세부과제명) 블랑켓 차폐블록 개발제작 주요 연구성과 정성적 성과 - 초대형 고온헬륨누설시험 장치의 개발을 완료하고, 이를 활용한 ITER 블랑켓 차폐블록의 고온헬륨누설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함. 정량적 성과 - 시험보고서 1건, 특허 1건, 국외 학술발표 1건 및 국외 논문발표 1건 예정 우수성 및 차별성 우수성 - 세계 최대규모[2.1m(폭)⨯2.3m(높이)]의 고온헬륨누설시험 장치로, 700℃에서 1⨯10-11 Pam3/s 수준의 헬륨누설민감도를 확보하여, 초대형 진공 관련 장치의 고온헬륨누설시험 기술을 확보함. 차별성 - 10m3 이상의 최대 시험 가능 체적은 세계최대의 규모이며, 1⨯10-11 Pam3/s 수준의 헬륨누설민감도를 확보한 세계 최초의 초대형 시험 장치임.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기술적 측면 - 향후 제작될 약 220여개의 ITER 블랑켓 차폐블록의 고온헬륨누설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ITER Test Blanket Module 및 K-DEMO 등 향후 국내 핵융합용 대형 장치의 고온헬륨누설시험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 마련.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 - 최신 고온헬륨누설시험 기술 확보를 통한 인프라 구축 - 관련 업계의 기술역량 강화에 따른 국내외 프로젝트 수주 기대 관련근거 고온헬륨누설시험 설비 상부 진공로, 펌프 및 디텍터 ITER 블랑켓 차폐블록의 고온헬륨누설시험
-
4
ITER한국사업단수소 대용량 극저온흡착 성능 DB 구축
수소 대용량 극저온흡착 성능 DB 구축에 대한 주기여자, 관련과제(세부과제명), 주요 연구성과, 우수성 및 차별성,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입니다. 연구성과 수소 대용량 극저온흡착 성능 DB 구축 주기여자 박순창, 손석권, 안무영, 조승연 관련과제 (세부과제명) ITER TBM 설계 및 기술개발 주요 연구성과 정성적 성과 - PGLoop 설비 내 Cryogenic Molecular Sieve Bed (CMSB) 모듈 이용하여 수소흡착 성능 DB 확보 - TBM 및 증식블랑켓으로부터 생산된 수소 동위원소 분리에 극저온흡착 공정이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 - TBM 및 증식블랑켓 연료주기 중 수소 동위원소 회수를 위한 극저온 흡탈착 종합 검증 기반 확보 정량적 성과 - 헬륨 퍼지가스 수소 분압 별 (100, 150, 300, 700 Pa) 대용량 흡착성능 (~50 mole) DB 확보 - 헬륨 퍼지가 유량 (0.2, 0.3 g/s) 및 압력 (100, 150 kPa) 영향 평가 결과 확보 우수성 및 차별성 우수성 - 증식블랑켓 조건에 해당하는 수소분압, 퍼지가스 유량, 퍼지가스 압력 범위에서 수소 동위원소 분리를 위한 대용량 수소동위원소 흡착성능 DB를 확보함 - TBM 및 증식블랑켓으로부터 생산된 수소 동위원소 분리에 극저온흡착이 단위공정으로 적용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수소 동위원소 회수를 위한 흡착단계/탈착단계의 종합 검증 기반을 확보함 차별성 - 기존의 수 mole 수준의 흡착 DB를 50 mole 이상의 DB로 확장하였으며, 퍼지가스 유량 및 압력의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다양한 증식블랑켓 연료주기 설계에 활용 가능케 함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기술적 측면 - TBM 삼중수소계통 설계 뿐 아니라 향후 증식블랑켓 연료주기 설계에 DB 활용 가능 - 탈착 DB까지 확보한다면, TBM 삼중수소계통 및 증식블랑켓 연료주기 운영 시나리오 평가에 활용 가능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 - 합성 제오라이트의 핵융합 적용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관련 산업의 참여 및 투자 기대됨 관련근거 PGLoop 설비 수소 대용량 극저온흡착 성능 곡선 비교표 수소 대용량 극저온흡착 파과 곡선
-
3
플라즈마기술연구소플라즈마-물 상호작용 기전 연구
플라즈마-물 상호작용 기전 연구에 대한 주기여자, 관련과제(세부과제명), 주요 연구성과, 우수성 및 차별성,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관련근거입니다. 연구성과 플라즈마-물 상호작용 기전 연구 주기여자 윤성영, 전형원, 김성봉 관련과제 (세부과제명) 미래선도 플라즈마-농식품 융합기술 개발 주요 연구성과 정성적 성과 -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처리된 물에 이온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표면장력이 감소하여 방전특성이 달라지는 플라즈마-물 상호작용 기전모델을 제시함. 정량적 성과 - SCI 논문 1편 우수성 및 차별성 우수성 - 플라즈마가 물을 변화시키고 물이 다시 플라즈마를 변화시키는 상호작용을 밝힌 결과를 Scientific Reports 저널(IF 4.12, JCR 82.03%, Rank 12/64)에 게재하여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음. 차별성 - 플라즈마가 물에 미치는 일방적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으나 물이 플라즈마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연구된 바가 없고 이 연구는 물 – 플라즈마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의 시발점이 됨.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기술적 측면 - 물과 플라즈마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시간에 따라 플라즈마의 특성이 변화됨을 제시함.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 - 본 연구에서 밝힌 물과 상호작용을 하는 플라즈마에 관한 반응기전은 가격 경쟁력이 높은 공기를 이용한 물 처리용 대기압 플라즈마 장치의 설계, 해석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 산업적 가치도 매우 큼. 관련근거 물표면 변형 측정 실험. 플라즈마 처리시간 (분): (a) 0, (b) 5, (c) 10, (d) 20. 플라즈마 방전 특성 관측. 좌: 저속이미지, 우: 고속이미지플라즈마 처리시간 (분): (a) 0, (b) 5, (c) 10, (d) 20.

보안문자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