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연구분야
4차 핵융합에너지개발 진흥기본계획(안)
비전
핵융합에너지 실현으로
지속 가능한 국가 신에너지 확보
제4차 기본계획 목표
KSTAR 장치
실험 목표 달성
실험 목표 달성
ITER 건설
마무리 단계 진입
마무리 단계 진입
장기 R&D로드맵
구체화
구체화
핵융합 규제
가이드라인 마련
가이드라인 마련
추진 전략과 과제
전략 1 핵융합 특화 전략·제도확충
- 중장기 연구개발 로드맵 구체화 및
체계적 이행 - 핵융합 특화 제도·체계 등 종합 기반 확충
전략 2 핵융합 핵심기술개발 촉진 및 기반 강화
- KSTAR를 활용한 고성능 플라즈마 기술 연구
- 전력생산 실증 핵심기술 개발 강화
- 핵융합 인재양성 및 산업생태계활성화 지원
전략 3 국제협력을 통한 첨단기술 확보 가속화
- ITER 사업을 통한 핵심기술 확보 극대화
- 주요 핵융합에너지 개발국과의 전략적
기술협력 강화
핵융합 핵심기술 확보 장기 일정(안)

* 2050년대에 핵융합 전력생산을 실증하기 위한 장기 일정목표 수립
* 5년 주기 기본계획 수립 시 장기 일정을 업데이트 제시
핵융합에너지 개발 추진계획(안)
핵융합에너지개발 진흥 기본계획
’10~’20년대 KSTAR
기초연구 (정부투자)
- 고성능, 고효율 장시간 운전 기술 확보
- 핵융합로 최적 운전기술

’20~’30년대 ITER
기술·공학연구 정부투자
- 핵융합에너지 생산 실증
- 핵융합로 건설 기술
- 연료 주기 연구

’20~’35년 증식블랑켓
징검다리기술 개발 정부투자
- 삼중수소 자급 기술
- 에너지 변환 기술

‘30 ~’50년대 핵융합실증로
신에너지개발 정부 및 민간분야 투자
- 실증로 설계건설 기술
- 시스템 최적화 및 경제성 검증 발전소 건설 능력 확보

’50년대 이후 실용화
신에너지상용화 민간분야투자
- 전력 생산 실증
- 상용 발전소 건설

담당부서
홍보협력팀

보안문자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