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성과

연구성과

2019년KSTAR연구센터 철분 함량 0.2% 이내 고순도 규사 분리를 위한 퀜치에 강한 저온 초전도마그네트 기반 규사 분리 장치 원천기술 개발

철분 함량 0.2% 이내 고순도 규사 분리를 위한 퀜치에 강한 저온 초전도마그네트 기반 규사 분리 장치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세부과제명, 연구원, 연구내용, 주요성과, 기대효과, 관련이미지 입니다.
세부과제명 KSTAR 장치운영 및 성능향상 사업
연구원 책임연구원 이현정(KSTAR 운전팀)
연구내용 규사 내 철분 분리 장치 개발
규사 자기분리용 상온 구경 250mm 이상의 3T급 초전도 자석 설계·제작
초전도 코일의 전자장 및 구조 설계
유리 제조에 사용되는 규사 내 철분함량이 0.2%이내인 철분 분리장치 개발
자기필터 이송부 설계·제작 - 초전도 자석과 자기필터 이송부가 연계된 규사 자기분리 시험 스프링 서포트가 적용된 5K 이하 운전 전도냉각형 극저온 냉각장치 설계·제작
스프링 서포트의 구조(탄성)해석 및 형상 설계
스프링 제작 및 조립
극저온 냉각장치의 사양 결정
극저온 장치의 열·구조 해석 및 상세 설계
극저온 시스템 제작
극저온 장치조립 및 성능평가
주요성과 기술적 가치
국내에는 초전도 자석을 이용한 철편 분리기가 상용화된 제품은 없으며, 기존 기술은 상전도 자석를 이용하여 철편을 걸러내는 기술로 3회에 거쳐 걸러내는 방식을 사용할 경우 최대 0.4%까지 분리 할 수 있지만 초전도 자석을 이용한 경우 0.2% 까지 분리 가능함.
초전도 자석 분리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KSTAR에서 발명된 coinical spring supprot에 관한 특허 기술을 이전 받아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
경제적 가치
KIRD의 중소기업지원 프로그램 중 하나인 패밀리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중소 기업인 ㈜한미테크윈과 연구소가 협업하여 산업통상 자원부의 R&D 재발견 프로젝트에 선정 되었으며, 제품 개발을 수행함 으로써 순도 높은 제품 제조가 가능함에 따라 관련 시장 진입 시 지식 기반사회에 적합한 고부가가치의 첨단기술 산업으로 진입이 가능함.
사회적 가치
해당 분야 중소기업에서 저온 초전도 자석을 제작하기 위해 전기, 전자, 기계, 통신, SW 등의 설계 인력과 가공 및 조립 인력 등을 포함하여 약 20명 이상의 고용 창출이 기대됨.
기대효과 기술적 측면
최근 주목받고 있는 초전도 자석이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magnet seperator”분야 사업에 접목된다면 그 파급효과는 매우 클 것이며, 자석 응용기기 설비의 개발 능력에 따라 그 응용분야는 무궁무진함. 산업용 초전도 자석에 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한 국내외 실정을 고려할 때, 진동에 강한 저온 초전도 자석 기술의 독자 개발을 통해 기술자립도 확보 및 국제적 기술 우위를 확보 할 수 있음.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
규사 내 철판 분리 장치 및 산업용 초전도 자석의 국산화를 통하여 순도 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국내산 원석들은 주로 칼라유리나 불투명 유리 등에 적용되고 있어, 저온 초전도 자석 기반의 규사 내 철판 분리 장치가 개발되면, 현재 전량 수입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수입대체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
초전도 자석의 가장 취약점인 진동에 퀜치가 자주 발생할 수 있는 단점 을 KSTAR에 개발된 서포트를 적용함으로써 초전도 자석의 운전 효율을 높이고, 규사 내 철판 분리 장치를 개발 시 하나의 자석으로도 원하는 원사의 순도에 도달 가능하여 순도 조절을 통하여 높은 순도의 제품으로 관련 시장 진입 시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고부가가치의 첨단 기술 산업으로 진입이 가능함.
산업용 초전도 자석 제작은 국내 및 국제 시장을 초기에 선점할 뿐 아니라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관련이미지 규사 분리 초전도 자석 시스템 관련 이미지
규사 분리 초전도 자석 시스템
초전도 자석 보빈과 열차폐체의 열부하 전산모사 결과 관련 이미지
초전도 자석 보빈과 열차폐체의 열부하 전산모사 결과
초전도 자석 보빈 설계 및 자기장 분포 관련 이미지
초전도 자석 보빈 설계 및 자기장 분포


목록

담당부서 연구관리팀
보안문자 이미지

보안문자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