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인기 검색어 2025-04-29 ~ 2025-05-06 2025-05-06
검색어 "플라즈마 기술"에 대한 검색결과 총 618건 입니다.
메뉴 (6)
검색결과 전체보기게시판 (499)
검색결과 전체보기-
KFE한·미 핵융합 연구기관 간 전략회의 개최
한-미 양국은 KSTAR와 미국의 대표적인 핵융합 실험 장치인 GA의 DIII-D를 활용한 플라즈마 공동 실험을 비롯해 PPPL 및 콜롬비아 대학 등과 AI 기술을 활용한 플라즈마 제어 기술 개발 등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조 스나이프스 PPPL 부본부장은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기반의 플라즈마 제어 기술, 실시간 진단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이 긴밀한 협력관계를 이어가고 있는 점을 매우 만족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기존의 협력을 바탕으로, 올해에는 새로운 연구 주제를 포함해 협력이 보다 구체화 되고 있다. GA와는 텅스텐 환경에 적합한 장시간 플라즈마 운전 기술 확보를 위하여 DIII-D 실험에 한국 연구진이 직접 참여하며, 플라즈마 진단 데이터 분석을 포함한 공동 연구도 병행될 예정이다.
작성자 홍보전략실 담당자 등록일 2025-04-15 15:35:57
연구원 홍보 > 보도자료
-
KFE한국 인공태양의 국제적 위상 점검한다
KSTAR 프로그램 국제자문위원회(이하 PAC 회의)는 KSTAR의 연구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세계 핵융합 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로 2년에 한 번씩 개최된다. KSTAR의 연구 성과를 국제적 기준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향후 계획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기회로 평가된다. 이번 회의에는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국립 연구소인 프린스턴 플라즈마 물리 연구소(PPPL)와 오크리지 국립연구소(ORNL), 미국의 세계적 핵융합 기업인 제너럴 아토믹스(GA)를 비롯하여 영국 원자력청(UKAEA), 독일 막스플랑크 플라즈마 물리연구소(IPP), 프랑스 원자력청(CEA), 이탈리아 신기술·에너지·지속가능한 경제개발청(ENEA), 일본의 양자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구(QST) 및 핵융합 연구소(NIFS)까지 각국을 대표하는 핵융합 선도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작성자 홍보전략실 담당자 등록일 2025-04-14 00:00:00
연구원 홍보 > 보도자료
-
KFE무기물 분말 표면 플라즈마 처리 관련
문의하신 무기물(ZnO) 분말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 테스트 관련 답변입니다. 테스트가 가능한지는 담당 연구자와 세부 내용을 논의해야 하는데, 분체의 전기 전도성이나, 분말의 입자의 평균 입경의 수준(나노입자인지, 수 마이크로 대인지, 수십 마이크로 대인지 정도) 등에 대해서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담당자인 플라즈마기술연구소 산업융합팀 석동찬 박사님 이메일을 전달드리오니, 연락하시어 관련사항에 대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석동찬 책임연구원 연락처: stackroach@kfe.re.kr 감사합니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드림.
작성자 홍보전략실 담당자 등록일 2025-03-13 13:19:55
고객참여 > 고객의 소리 > Q&A
웹페이지 (33)
검색결과 전체보기-
Fusionschool과학캠프
및 체험 활동(건전지 기차 실험, 플라즈마 볼 체험 등)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STAR 장치 투어 군산 플라즈마기술연구소 탐방
퓨전스쿨소개 > 퓨전스쿨이란? > 퓨전스쿨 > 과학캠프
-
KFE우리나라 조달품목
발생시키고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서는 운전 중 지속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물리량(온도, 밀도, 자기장 등)을 측정하여 핵융합 반응의 성능을 분석하고, 플라즈마가 불안정해지지 않게 잘 유지되도록 능동적으로 플라즈마를 제어하여야 한다.
연구분야 > ITER > ITER 한국사업 > 우리나라 조달품목
-
KFE국내 핵융합 연구
촉진 및 기반 강화 KSTAR를 활용한 고성능 플라즈마 기술 연구 전력생산 실증 핵심기술 개발 강화 핵융합 인재양성 및 산업생태계활성화 지원 전략 3 국제협력을 통한 첨단기술 확보 가속화 ITER 사업을 통한 핵심기술 확보 극대화 주요 핵융합에너지 개발국과의 전략적 기술협력 강화 핵융합 핵심기술 확보 장기 일정(안) * 2050년대에 핵융합 전력생산을 실증하기 위한 장기 일정목표
연구분야 > 핵융합에너지란? > 국내 핵융합 연구
첨부파일 (65)
검색결과 전체보기
보안문자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