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인기 검색어 2025-04-29 ~ 2025-05-06 2025-05-06
검색어 "최고"에 대한 검색결과 총 333건 입니다.
메뉴 (0)
게시판 (262)
검색결과 전체보기-
KFE한·미 핵융합 연구기관 간 전략회의 개최
웨인 솔로몬 GA 부사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DIII-D와 KSTAR는 상호보완적인 장치로, 양국은 이러한 협력을 통해 핵융합 상용화의 실질적 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전략적 파트너십 또한 한층 더 강화해 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세계적인 플라즈마 진단 기술을 보유한 GA와 협력을 통해 KSTAR의 디버터 환경에 맞는 신규 진단 장치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ORNL과는 핵융합 실증로용 디버터 개발을 위한 플라즈마 해석 연구가 진행 중이며, 캘리포니아 대학교(UCLA)와는 실증로 핵심 기술 중 하나인 핵융합 연료주기 기술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양국은 이처럼 축적된 공동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초전도자석, 블랑켓, 핵융합로 설계 등 공학적 분야와 더불어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핵융합 시스템 개발까지 협력 영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작성자 홍보전략실 담당자 등록일 2025-04-15 15:35:57
연구원 홍보 > 보도자료
-
KFE핵융합(연), ‘자랑스런 KFE人’ 홍용철 책임연구원 선정
홍용철 책임연구원은 플라즈마 융복합기술 연구 분야의 국내 최고 전문가로,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환경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기술 개발을 선도하며 혁신적인 연구를 이끌어 왔다. 특히, 수중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방류수 초고도 정화 및 생태독성 저감 기술, 저비용 고특성 탄소섬유 개발, 친환경 이산화탄소 공급 및 대기 질소 비료화 기술 개발 등 다양한 혁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플라즈마 기술의 폭넓은 가능성을 제시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2024년 한 해 동안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Chemosphere 등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에 다수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며 플라즈마-환경 융합 기술의 성과를 국제적으로 널리 알렸다.
작성자 홍보전략실 담당자 등록일 2025-01-02 00:00:00
연구원 홍보 > 보도자료
-
KFE한국의 인공태양 KSTAR, 핵융합 실증로 운전 시나리오 조기 개발 도전!
이를 바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고성능 플라즈마 장시간 운전 성과를 발표하는 등 핵융합 실증로용 운전 기술 확보를 위한 기반을 갖춘 장치로 인정받고 있다.이에 KSTAR는 금년 실험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핵융합 실증로용 플라즈마 운전 시나리오 확보를 위한 플라즈마 물리 실험에 돌입한다. 고온·고밀도·고전류 조건에서 높은 가둠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고성능 시나리오 연구 및 고성능 플라즈마 환경을 방해하는 각종 불안정 현상을 억제할 기술 연구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텅스텐 디버터의 성능 점검 및 내벽 연구 강화를 통해 실증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텅스텐 불순물 제어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텅스텐은 열에 강한 특성 덕분에 핵융합로 내벽 소재로 적합하지만, 운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텅스텐 불순물이 플라즈마의 성능 및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작성자 홍보전략실 담당자 등록일 2024-11-11 00:00:00
연구원 홍보 > 보도자료
멀티미디어 (63)
검색결과 전체보기웹페이지 (7)
검색결과 전체보기-
KFEKSTAR와 ITER
자체 전류비(fBS) 0.9 0.5 D(중수소), T(삼중수소) 초전도 재료 Nb₃Sn / NbTi Nb₃Sn / NbTi 최고
연구분야 > 핵융합에너지란? > KSTAR와 ITER
-
KFE인사말
저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미래 녹색에너지원으로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선도하는 국내 유일의 핵융합 전문 연구기관으로서 세계 최고 수준의 핵융합연구장치인 KSTAR(케이스타)를 국내 기술로 개발하고, 세계 핵융합 공동연구장치로 운영하며 핵융합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과 우수한 핵융합 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핵융합에너지 상용화를 위해 세계 주요 선진 7개국이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이터) 공동개발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21세기 중반 핵융합에너지 시대를 열기 위한 인류 공동의 노력의 중심에 있습니다.
연구원 소개 > 인사말
-
KFEKSTAR 기네스
탄소 섬유 복합재의 표면 온도는 최고1,200℃ 플라즈마와 가장 가까이 있는 장치의 온도 KSTAR 진공용기 내부에서 플라즈마와 가장 가까이 있는 탄소 섬유 복합재의 표면 온도는 최고 1,200℃ 까지 이르며, 이는 지표면으로 분출된 용암의 온도와 필적하는 온도입니다. KSTAR의 경우 장치 내부의 초전도 자석을5k 초전도 전자석의 운전 온도 초전도 전자석은 낮은 온도에서 초전도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KSTAR의 경우 장치 내부의 초전도 자석을 5K 즉, 영하 268℃까지 냉각한 후 운전합니다.
연구분야 > KSTAR > 소개 > KSTAR 기네스
직원 (0)

보안문자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