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인기 검색어 2025-04-29 ~ 2025-05-06 2025-05-06
검색어 "가속기"에 대한 검색결과 총 39건 입니다.
메뉴 (0)
게시판 (32)
검색결과 전체보기-
KFE플라즈마와 바이오 기술 융합하는 국제협력 추진
기존에 활용 가치가 떨어졌던 부산물을 활용하거나, 추가 공정 개발 등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 및 신규 시장 개척이 가능해 최근 바이오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이 확대되는 추세이다.세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핵융합(연) 플라즈마기술연구소가 보유한 플라즈마 기술 및 원자력(연) 양성자과학연구단의 양성자가속기 기술을 치앙마이대학의 농업 및 생물 기술 분야에 적용하여 고기능성 바이오 재료를 확보하기 위한 생물재료 처리 및 성장 기술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특히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바이오 소재 처리 기술, 양성자가속기 기술을 활용한 바이오 소재 처리 기술, 플라즈마 기술과 양성자가속기 기술을 융합한 바이오 소재 처리 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작성자 홍보협력팀 담당자 등록일 2024-05-17 16:15:14
연구원 홍보 > 보도자료
-
KFE핵융합(연), 2023‘자랑스런 KFE人’ 오종석 책임연구원 선정
오종석 책임연구원은 서울대학교에서 원자핵공학을 전공하였으며, 포항가속기연구소를 거쳐 2008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입사한 후 ITER한국사업단에서 ITER 전원장치 조달을 이끌어 온 핵융합 전문가이다.
작성자 홍보협력팀 담당자 등록일 2024-01-02 00:00:00
연구원 홍보 > 보도자료
-
KFE[ITER한국사업단]ITER 진공용기 두 번째 본체(섹터) 성공적 개발·제작
주장치 설치의 기준점으로서, 지난 10년간 각종 기술적 난제들의 모범적 해결을 통해 ITER 사업 참여국 중 최초로 진공용기 첫 번째 본체 완성 후 조달 완료(’20년 10월) 첫 번째 본체 제작 교훈의 적극적 반영을 통해 총 제작 기간 25% 단축 후 두 번째 본체를 완성 하였으며, ‘21년 8월 운송 완료 후 ITER 국제기구의 성공적인 현장 인수 시험을 통해 우리나라가 책임지고 있는 본체 2개 전량에 대한 조달 완료(‘21년 11월) ※ ITER 진공용기 본체 2차 출하(’21년 6월 25일) 관련, 총 21개 국내 언론에 보도 ※※ ITER 진공용기 본체 개발·제작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료함(’21년 12월) 기대효과 프랑스 원자력 법령, RCC-MR 2007 코드 및 프랑스 원자력 규제 기관의 엄격한 품질관리를 제작에 동시 적용시킨 국내 최초의 사례로 핵융합 상용화를 위한 기반기술 확보 및 한국 기계 기술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부각시킴으로서 관련 핵융합/가속기
작성자 최고관리자 등록일 2022-09-28 00:00:00
연구성과 > 대표 연구성과
멀티미디어 (0)
웹페이지 (4)
검색결과 전체보기-
KFE관련기관
국내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연구재단 국립중앙과학관 <%-- 한국핵융합·가속기기술진흥협회 --%> 한국물리학회 해외기관 국제기구 ITER IAEA IEA 중국 ASIPP CAS SWIP EU CEA IPP UKAEA
연구원 소개 > 대외협력 > 관련기관
-
KFE engHistory
OCT.2015 10th anniversary of foundation ceremony of NFRI DEC.2014 Successful procurement of ITER “superconducting tokamak” (First among ITER participating countries) <%-- 2014.07 핵융합가속기기술진흥협회
About KFE > Introduction > History
-
KFE10대 기술
10대 기술 초전도 자석 극저온 실험기술 기술성과 초전도자석의 극저온(4.5K) 9KW급의 국내 최대규모 헬륨냉동기 설계·설치 및 냉각 실험기술 개발 대형 초전도자석의 극저온 냉각시험과 고자장 발생 시험 성공 열부하 안정화를 위한 열환충 시스템 적용 파급효과 ITER 등의 핵융합장치와 가속기
연구분야 > KSTAR > 건설성과 > 10대 기술
첨부파일 (3)
검색결과 전체보기직원 (0)

보안문자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르세요.